작년에 산 X5 펌웨어 업데이트가 1월 달에 있었다.

다른건 잘 모르겠고 체감적으로 느껴지는건 flac, m4a 파일 재생시 이상한 잡음이나 중간중간 끊어지던 현상이 없어졌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역시 하고 볼 일 이다. flac 을 wav 로 변환해 넣는 수고를 덜게 되었다.


fiio X5http://www.fiio.net/en/story/242


* 2.7 버전이 있길래 업로드 한다. 업데이트 정보는 이쪽

x5_fw2.7.zip

x5_fw2.7.z02

x5_fw2.7.z01


아래의 책을 가지고 스터디(?) 시작 한다.




http://wikibook.co.kr/flask/


오늘은 첫날 이니깐. 환경 설정만 해보자.

기본적으로 책에는 windows7 32bit 에서 설정 하는 방법이 적혀 있지만,

현재 사용중인 맥북에서 설정 하면서 삽질 하는 것 중심으로 적는다.


1) 파이썬 설치

https://www.python.org/downloads/ 

Mac OS X 용 python 2.7.3 을 다운로드


.pkg 파일 이므로 더블 클릭하여 다음 다음 눌러 가며 설치.

환경 변수 설정 등은 필요 없음.


2) 이클립스 설치

http://www.eclipse.org/downloads/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 를 다운로드


.tar.gz 파일 이므로 압축 해제 하면 끝.


3) distribute 설치

https://pypi.python.org/pypi/distribute

0.7.3 버전을 다운로드


압축을 해제 한 후 디렉토리에서 터미널을 실행 한 후 (Go2Shell 사용

python setup.py install 

으로 설치


4) virtualenv 설치

pip install virtualenv

으로 설치

 

5) 가상 환경 생성

virtualenv flask

으로 생성 하면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flask 라는 디렉토리가 생성 된다.


6) flask 설치

flask 를 설치 하되, 현재 가상 환경인 flask 만 설치 해야 한다.

책에는 activate.bat 를 실행하면 앞에 가상 환경명이 붙으면서 활성화 된다고 되어 있는데

mac 에서는 동작을 안하는건지 어쩐지는 모르겠다.


위에서 생성한 flask 아래에 bin 디렉토리로 이동 한다. (앞으로 flask 디렉토리라고 부른다.)


./pip install Flask

으로 설치 한다.


6-1) flask 설치 확인

flask 디렉토리로 이동 한다.


./python 


from flask import Flask 

입력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으면 에러가 없지만 잘못 설치 되었으면 ImportError 가 발생 한다.


6-2) flask 설치 확인 2

flask 디렉토리의 python 말고 설치된 기본 python 을 실행 하여 6-1 을 테스트 해본다.


7) PyDev 설치

이클립스 실행 후 Eclipse Markplace 에서 pydev 로 검색하여 설치 한다.





7) 소스 다운로드

workspace 디렉토리로 이동 한다.


git clone git://github.com/wikibook/flask.git flask_code


으로 flask_code 라는 디렉토리에 소스를 받는다.


8) 프로젝트 생성

이클립스에서 new -> project -> pydev 프로젝트를 선택 한다.

프로젝트 명으로는 flask_code 를 입력 한다.



PyDev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미리 받아 놓은 코드가 등록된 상태


9) 가상 환경 적용

properties -> PyDev Interpreter -> Interpreter -> configure interpreter




9-1) 가상환경 interpreter 추가

new -> browse 버튼 -> flask 디렉토리 아래 bin 디렉토리 안의 python 파일을 선택 한다.



ok 버튼을 눌러서 추가 한다.





프로젝트 설정 화면으로 돌아와서 추가한 interpreter 를 선택 한다.


10) 테스트


ch02/hello.py 를 실행 하여 Flask 가 정상적으로 실행 되는지 확인 한다.



일단 설치 및 환경 설정은 여기 까지.





1. 기본 접속 화면 (기본 포트 8080)



2. 우하단에 위치한 대시보드 화면

시스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3. 파일 스테이션

좌측에 트리정보가 보이는 형태의 파일 관리자를 제공 한다.

기능도 많고 속도도 혼자 사용하기에는 느리지 않다.



WD의 My Cloud 와 파일관리자 화면을 비교



4. 파일 공유

파일스테이션에서 파일을 바로 공유 가능함

공유한 파일 정보를 이메일로 보낼 수 있음.



공유파일 정보를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에 게시 가능,


5.  다운로드 스테이션

일반적인 토렌트 다운로드 프로그램과 같은 기능을 제공 한다.

다만, 특정 디렉토리 감시를 통해 토렌트 파일을 읽어 드리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6. 앱 센터

제공해주는 앱의 수는 굉장히 많다.



7. Qfinder 를 통한 설정

웹 관리 화면을 사용하지 않고 Qfinder 를 통해서 관리를 할 수 있다.

기본적인 설정 이외에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 사진 업로드 등을 편하게 할 수 있다.




1. 구성품


깔끔하고 단촐한 구성


처음 열었을 때 케이블이 왜 하나씩만 있지 하고 놀랐다. (SATA1, 전원1)



2. HDD 연결 방법(1)


첫번째 HDD 는 아래 사진과 같이 직접 끼워 넣기 때문에 케이블이 하나씩만 있는 거였다.



3. HDD 연결 방법(2)


두번째 HDD 를 연결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된다.



4. 조립을 완료한 다음의 모습



5. 세팅


1) 조립 완료 후 전원 및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한다.

2) 본체의 전원 버튼 눌러 전원을 켠다.

3) http://start.qnap.com 으로 접속하여 내 NAS 를 선택 한다.




4) Start Now 버튼을 눌러서 시작... 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미 조립은 마친 상태 이다.

5) Qfinder 를 다운로드 하여 설치 (Local Installation 의 경우)




6) Qfinder 를 실행 하면 NAS 가 자동으로 목록에 보인다.





초기에는 네트워크 환경에 맞추어 자동으로 IP를 잡는다. (물론 추후 변경 가능하다.)

버전이 4.0.5 로 (날짜만 봐도 최신은 아닌듯 하다.) 보이며, 상태는 ? 이다.


7) 펌웨어 업그레이드

펌웨어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는 Qfinder 에서 NAS를 제어할 수 없다.


웹브라우져에서 http://NAS IP:8080 으로 접속 한다.

연결된 링크에서 최신 firmware 를 다운로드 받는다. 약 169Mb 정도 된다.




다운로드 받은 ZIP 파일을 압축 풀면 img 파일이 나온다.

웹브라우져의 화면에서 파일을 선택 하고 시작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 한다.(한참 걸린다.)


※ 시스템이 구성되는 중입니다. NAS를 끄거나 하드 드라이브를 분리하지 마십시오...가 아닐까?


8) 환경 설정

설치 완료 후 사용자, 네트워크, RAID 설정 등을 진행 한다. 캡쳐를 잊었다.




ClipX : http://bluemars.org/clipx/


관련 소개 글 링크 : http://lifehacker.com/5298615/five-best-clipboard-managers


Copy and Paste 를 주업으로 하다 보니 클립보드에 하나만 저장되는 것은 너무 비효율 적이라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개발된지는 오래 되었지만 단순하고 편하다.




Trello 검색하면서 찾은 것들




cat /etc/redhat-release


출처 : KLDP

딱 vi 와 tail 만 사용하려고  cygwin 을 설치 하였다.


cygwin 이란?

시그윈(Cygwin; IPA: /ˈsɪgwɪn/)은 원래 시그너스 솔루션스가 개발한 자유 소프트웨어 모음집으로, 다양한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유닉스 계열이 동작하도록 고안된 에뮬레이터이다. GNU GPL로 배포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출처 :  wikipedia (시그윈)


설치하면서 찾은 정보들을 남겨 놓는다.


cygwin 다운로드 

http://www.cygwin.com/


cygwin으로 Windows를 Linux처럼 쓴다.

http://blog.xcoda.net/22


 cygwin wiki

http://kwonnam.pe.kr/wiki/cygwin


MinTTY : Cygwin에서 UTF-8 지원하는 터미널

http://chanik.egloos.com/3785205

find ./ -name '*.xml' -exec perl -pi -e 's/exchange year=\"2014\"/exchange year=\"2013\"/g' {} \;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확장자가 xml 인 파일을 찾아서 모든 exchange year="2014" 의 값을 exchange year="2013" 으로 변경 한다.


쌍따옴표(") 를 치환 문자열에서 쓰기 위해서는 역슬래쉬(\)를 앞에 붙이면 된다.


AIX5 와 CENT OS 6에서 테스트 하였다.

내용출처 : http://www.heidilux.com/2014/02/setup-git-server-synology-nas/


DSM 5.0-4458 Update 2 에서 테스트 하였다.


1.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 메뉴에서 SSH 서비스 활성화를 체크 하고 적용 버튼을 누른다.


2. 패키지 센터에서 Git Server 를 설치 한다.


3. git 용 사용자를 만든다. (디렉토리,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어떤 권한도 주지 않아도 된다.)


4. 제어판 -> 사용자 메뉴에서 사용자 홈 서비스를 활성화 한다.



5. 메인메뉴 -> git server 에서 git 용 사용자 접근허용에 체크 하고 적용 버튼을 누른다.



6. ssh 로 접속 한다. (root)


7. git용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git repository 를 생성 하고 접근 권한을 변경 한다.



8. pc 에서 git clone 으로 테스트 한다.

git clone ssh://gituser01@192.168.0.140/var/services/homes/gituser01/my_project.git




push 를 할 때 혹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보게 되면 디렉토리의 권한을 다시 한번 확인 한다.

git.exe push --progress  "origin" master:master


Counting objects: 3,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4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2/2), done.

Writing objects: 100% (3/3), 217 bytes | 0 bytes/s, done.

Total 3 (delta 0), reused 0 (delta 0)

remote: error: insufficient permission for adding an object to repository database ./objects

remote: fatal: failed to write object

error: unpack failed: unpack-objects abnormal exit

To ssh://gituser01@192.168.0.140/var/services/homes/gituser01/my_project.git

! [remote rejected] master -> master (unpacker error)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ssh://gituser01@192.168.0.140/var/services/homes/gituser01/my_project.git'


git did not exit cleanly (exit code 1) (3563 ms @ 2014-04-22 오전 3:32:54)










+ Recent posts